JIFF 26th LOGO

영특한 대화

‘영화와 함께 하는 특별한 대화’의 줄임말로, 영화를 둘러싼 다층적인 대화를 통해 영화 밖으로 확장된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을 갖습니다.

  • 영특한 대화는 영화 상영 후 60분 동안 진행됩니다.
  • 참가 비용: 12,000원(영화 관람 포함)
  • 별도 제공 여부가 표기된 행사에 한해서만 영어 통역이 제공됩니다.
  • 영화제 사정에 따라 아래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기생충>(2019)의 아카데미시상식 통역사로 잘 알려진 샤론 최와 <잡종>을 함께 보고 제롬 유 감독에게 한국계 캐나다인으로서의 디아스포라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 순차통역(한국어, 영어)으로 진행됩니다.
일정 5.2(금) 17:30 CGV전주고사 1관
게스트 제롬 유(감독)
모더레이터 샤론 최(감독)
상영코드 242
트럼프 대통령에 반기를 든 공화당원 애덤 킨징거에 대한 다큐멘터리 <마지막 공화당원>을 국민의힘 김상욱 의원과 함께 보고 민주주의를 논하는 시간입니다.
일정 5.3(토) 10:30 메가박스 전주객사 2관
게스트 김상욱(국민의힘 국회의원)
모더레이터 김은지(시사IN 정치이슈팀장)
상영코드 312
음악계의 대표적 센언니, 퀴어 페미니스트 아이콘 '피치스'에 관한 다큐멘터리 <피치는 미쳐 가고 있어> 상영 후 오지은 음악인 겸 작가와 프로젝트 38의 조혜영 영화평론가가 함께 이야기하는 시간입니다.
일정 5.4(일) 17:00 CGV전주고사 8관
게스트 조혜영(영화평론가)
모더레이터 오지은(음악인·작가)
상영코드 445
<마지막 야구 경기>는 야구에 대한 영화이자 사라지는 공간에 대한 영화이기도 합니다. 김영글, 안유리 작가와 함께 좋아하는 것과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공유하는 시간입니다.
일정 5.4(일) 17:30 CGV전주고사 5관
게스트 안유리(작가)
모더레이터 김영글(작가)
상영코드 442
지금은 사라진 비디오 가게를 아카이브 푸티지로 담아낸 <비디오헤븐>을 이진숙 영화제작자, 김형석 영화저널리스트와 함께 보고 시네필 문화와 그 영향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일정 5.5(월) 11:00 CGV전주고사 5관
게스트 이진숙(영화제작자)
모더레이터 김형석(영화저널리스트)
상영코드 507
한국영화 음향 전문 국내 대표기업인 ‘라이브톤’의 풍부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영화 음향의 효과적인 구현 방법과 사운드 기술의 최신 동향에 대해 알아봅니다. 최근 헐리우드 영화 <미키 17> 음향 제작 등 사운드에 얽힌 다양한 비하인드 스토리 방출과 참석자들의 질의로 해당 영화의 사운드 제작에 대한 궁금증도 해결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과 공동주최로 진행됩니다.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은 효과음원 유통 플랫폼인 케이사운드라이브러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링크]
일정 5.5(월) 11:00 CGV전주고사 1관
게스트 라이브톤 대표 관계자
상영작 <미키 17>(봉준호)
상영코드 503
폐막작 <기계의 나라에서>의 김옥영 감독과 <밤산책>(2023), <공원에서>(2024) 등을 연출한 손구용 감독이 <공원> 상영 후 이주 노동과 노동자를 담아내는 카메라의 미학과 윤리, 그리고 다큐멘터리의 방법론에 대해 대화를 나누는 시간입니다.
일정 5.5(월) 14:00 CGV전주고사 3관
게스트 손구용(감독)
모더레이터 김옥영(감독)
상영코드 524
서구화가 진행 중이던 메이지 시대를 배경으로 수렵과 채집을 하던 한 남자가 농부로, '일본인'으로 변모해가는 과정을 그린 <검은 소>의 감독, 각본가와 영화와 제작과정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입니다.

* 순차통역(한국어, 일본어)으로 진행되며, 별도의 영어 통역이 제공됩니다.
일정 5.5(월) 17:00 CGV전주고사 1관
게스트 쓰타 데쓰이치로(감독), 구보데라 고이치(각본가)
모더레이터 정성일(영화평론가)
상영코드 522